2023년 6월 시행 예정인 청년도약계좌의 소득조건과 지원금액 그리고 청년희망적금과 중복이 가능한지
알아보려 합니다.
마지막에는 청년희망적금과의 중복여부에 대해 예상해 봤으니 끝까지 읽어주시길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의 경우 결론부터 말하면 청년 근로자의 목돈 마련저축 상품입니다.
본인 납입금 외 정부 기여금 지원과 은행 이자를 받으면서 만기 시 이자비과세 혜택으로 자산 형성을 돕는 제도입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당선 공약으로 내세운 정책이며,
이 상품은 현 정부의 청년지원사업으로 2023년 금융위원회 예산 중 가장 높은 금액인 3조원 규모로 확정했습니다.
이전의 청년희망적금보다 가입 제한을 대폭 완화해 가입 대상폭을 넓혔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집중해서 끝까지 읽어주세요!
청년도약계좌 대상 및 조건
대상 : 만 19세 ~ 34세 이하 청년 (남자의 경우 병역 이행기간 제외)
시기 : 2023년 6월 중 출시 예정
조건 : 개인소득 6천만 원 이하, 가구 총 소득 중위소득 대비 180% 이하
한도 : 월 70만 원
가입기간 : 최대 5년
출시일 : 2023년 6월경
소득이 없는분들은 가입이 불가합니다.
청년도약계좌는 5년간 매월 40~70만원을 납입하는 적금형 상품입니다.
기본 금리(미정)에 정부가 3~6% 가산금리를 지원해 준다고 합니다.
가산 금리는 가입자 소득에 따라 차등 적용되며 매월 70만 원씩 5년 납입해 원금 4200만 원을 5천만 원 만들기가 가능합니다.

개인소득 6천만 원 이하, 가구 총소득 중위소득 대비 180% 이하만 가능하니 위 사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현재 기준으로는 중위소득 180% 기준 1인 급여는 약 374만원 정도입니다.
정부 지원금액
연소득 | 본인금액 | 정부지원금 | 합계 |
2400만원 이하 | 30만원 | 50만원 | 70만원 |
2400~3600만원 이하 | 50만원 | 20만원 | 70만원 |
3600~4800만원 이하 | 60만원 | 10만원 | 70만원 |
4800만원 초과 | 70만원 | x | 70만원 |
또한, 소득분위에 따라서 지원금액이 다릅니다
월 70만 원을 한도로 하며 연 소득 2400만 원 이하 일 때 매월 40만 원, 3600만 원 이하 매월 20만 원, 4800만 원 이하 매월 10만 원, 4800만 원 초과는 비과세로 진행됩니다.
2400만 원 소득자를 기준으로 가입자는 매달 30만원까지 저축 가능하며, 정부에서 40만 원을 지원해 한도인 70만 원을 채우게 됩니다.
청년도약계좌 Q & A
1. 해당 상품의 가입 기간 동안 퇴직이나 이직할 경우는?
아직 완전히 출시한 게 아니라 정확한 건 아니지만 청년내일저축의 상황을 보면 중도 퇴사 시 3년간 근로 및 사업소득을 적정하게 유지해야 가능한 걸로 보입니다.
2. 알바나 프리랜서는 가입가능 한가?
근로 및 사업소득이므로 해당 사항에 충족된다, 그러나 연소득 6천만 원 이하나 중위소득 180% 조건은 만족해야 가능할 걸로 예상됩니다.(고용보험을 납부하고 있음을 증명해야 가능합니다)
3. 청년희망적금과 중복이 가능할까요?
현재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의 중복이 가능한지는 논의 중이라고 합니다.
청년희망적금은 이미 폐지되어 신규가입은 불가능합니다.
현재 논의 중인 사안이지만 청년희망적금을 보완한 상품이니 취지상으로는 중복이 불가할 걸로 판단됩니다.
그러나 기존 상품인 청년희망적금에서 청년도약계좌로 편입시키는 "갈아타기"는 가능할 걸로 보입니다( 개인 생각입니다)
추후에 정부방안이 나오면 바로바로 포스팅하겠습니다^^
자 그럼, 여태까지 청년도약계좌란 무엇이며 청년희망적금과의 중복이 가능한지에 대해 예상해 봤습니다.
취지가 청년들을 도와주는 것에 있으니 꼭 많은 청년들이 혜택을 받았으면 좋겠습니다
이상으로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직장인 길잡이 직길로이 였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업 ETF vs 개별주 투자, 무엇이 더 좋을까? (2) | 2025.03.05 |
---|---|
나는 차상위계층 일까? 조건 및 신청 방법 정리 2025년 최신기준 (0) | 2025.03.02 |
2025 청년도약계좌 군인도 가입할 수 있나요? 조건 및 신청 궁금하면 들어와 (0) | 2025.03.01 |
에너지바우처 대상 조건과 신청방법, 국민행복카드 발급 방법까지 이걸로 정리 끝 (2) | 2023.01.28 |
간이과세자 일반과세자 부가세 신고 방법 / 기준에 대해서 한번에 알아보기 (0) | 2023.01.21 |
댓글